1. 보건증 필수 직종
✅식품위생업 관련 종사자
◾ 식당, 카페, 편의점, 베이커리, 떡집, 유제품 판매업
◾ 배달업(배달 음식 조리)
✅ 공중위생업 관련 종사자
◾ 미용사, 네일샵, 피부관리실
◾ 목욕탕, 찜질방, 사우나
✅ 기타 보건증이 필요한 직종
◾ 어린이집, 유치원
◾ 병원 및 요양시설 조리사
◾ 급식 업체 및 단체급식소 직원
2. 내 근처 보건소 찾기
보건증은 식품위생법에 따라 음식 관련 종사자에게 필수적인 증명서 인데요. 따라서 이를 발급하기 위해서는 지정된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보건증을 발급할 수 있는 병원은 보건소, 개인병원 또는 종합병원에서 검사 할 수 있습니다. 일부 병원에서는 사전 예약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확인 후 방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러나 대부분 비용적인 면 때문에 근처 보건소에서 시행을 합니다.
이 보건증이 없으면 해당 직종에 지원할 수 없으므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보건증은 일반적으로 1년간 유효하며, 만료 후에는 재발급이 필요합니다.
3. 보건증 검사항목
📌 혈액 검사 예정 시 공복 상태 유지(최소 8시간 금식)
📌 검사는 보통 30~1시간 이내 소요
📌 일반적으로 검사 후 결과가 나오기까지 3-7일 정도 소요 됩니다.
일반 건강검진 | - 키, 몸무게, 체지방률 측정 - 혈압 검사 - 의사 상담을 통한 기본 건강 상태 점검 |
감염병 검사 | - 결핵 검사(흉부 X-ray 촬영) - A형 간염, 장티푸스 검사(업종별 차이 있음) |
3) 혈액 검사 | 모든 검진자가 혈액 검사를 받는 것은 아님. 업종 및 지역 보건소에 따라 다름. |
4) 소변검사 | - 신장 기능 평가 - 당뇨, 요로감염 여부 확인 |
5) 장티푸스 검사 | - 식품업 종사자의 경우 필수 검사 - 항문 면봉 검체 채취를 통해 장내 세균 여부 확인 |
4.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주의사항
❌ 보건증은 인터넷으로 신규 발급이 불가능합니다.
❌ 검사를 받지 않고 인터넷으로 새롭게 보건증을 발급 받을 수 없습니다.
📌 보건증 발급 받을 수 있는 사이트
1️⃣ 정부 24 홈페이지 접속
2️⃣ 검색창에 "건강진단결과서" 입력
3️⃣ 본인 인증(금융인증서, 카카오인증서, 네이버 인증서, 공동인증서 인증 가능)
4️⃣ 발급 내역 확인 후 출력하기 버튼 클릭
5️⃣ 프린터로 인쇄하여 제출
🐹꿀팁 : 발급 비용 무료, 흑백 출력본도 인정 가능!!
1️⃣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접속
2️⃣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발급 클릭
3️⃣ 본인 인증
4️⃣ 보건증 출력 또는 모바일 저장
5. 보건증 분실 시 보건증 재발급 방법
📌 보건증 유효기간인 "1년"이 지난 경우 재발급이 불가능합니다.
📌 유효기간이 초과된 경우 새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온라인 재발급 방법
◾ 정부 24에서 기존 발급 내역을 조회한 후 출력하기
◾ 보건증 검사 결과 조회 시스템에서 재 출력 가능
✅ 오프라인 재발급 방법
◾ 가까운 보건소 방문 ★신분증 반드시 지참
◾ 발급 즉시 수령 가능
6. 보건증 재검사 기간
📌유효기간 만료일 전에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했지만,
이제는 기한 준수 부담을 덜기 위해 유효기간 만료일 전후 30일 이내에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질병이나 사고 등 부득이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1달 이내의 범위에서 검사 기한을 연장할 수 있는 유예기간도 신설되었습니다.
'사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착순 마감!🔥 청년문화예술패스 15만원 받는 법 (0) | 2025.03.08 |
---|---|
양현민 최참사랑 "프러포즈 최악이라 울었다?" 풀 스토리!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