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홈플러스 회생
    홈플러스 회생

    최근 홈플러스가 2025년 3월 4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으면서 상품권 사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특히 여러 제휴사들이 홈플러스 상품권 사용을 중단하면서 이러한 우려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소중한 내 상품권, 어떻게 지켜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홈플러스 회생 신청 이유

     

    홈플러스 회생홈플러스 회생홈플러스 회생
    홈플러스 회생

    📌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자금 조달 어려움
    📌 영업이익 감소 및 수익성 악화
    📌 점포 매각을 통한 단기적인 자금 확보 의존
    📌 온라인 쇼핑 확대로 인한 대형마트 경쟁력 약화

    2.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와 그 배경

    홈플러스 회생홈플러스 회생홈플러스 회생
    홈플러스 회생

    2025년 3월 4일, 서울회생법원은 홈플러스의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했습니다. 이는 최근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한 조치로 알려져 있습니다. 홈플러스 측은 "이번 회생절차 신청은 사전 예방적 차원"이라며, "인수 당시 부채는 2조 원 정도였으나, 1조 3,000억 원은 차환하고 나머지는 운전자금 목적의 단기차입금 형식으로 조달돼왔다"고 설명했습니다.

    3. 현재 홈플러스의 상황

     

    기업 상태 : 부채 비율 462%, 매출 7조 원 이상

    영업 상황 : 대형마트 • 익스프레스 온라인몰 정상 운영
    재정 현황 : 약 2조 원 금융 부채, 4.7조 원 이상의 부동산 자산 보유

    4. 기업회생 신청 후 달라지는 점

    홈플러스 회생홈플러스 회생홈플러스 회생
    홈플러스 회생

    ✅ 금융 채권 상환 유예 ⇒ 단기적 자금 유동성 확보
    ✅ 협력업체 거래 정상 진행 ⇒ 공급망 유지
    ✅ 직원 급여 정상 지급 ⇒ 내부 운영 안정화

    5. 상품권 사용 중단 제휴사 현황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 돌입 이후, 여러 제휴사들이 상품권 사용을 중단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휴사들의 사용 중단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라면세점 2025년 3월 4일부터 사용 중단
    CJ푸드빌 뚜레쥬르, 빕스, 더플레이스 등 3개 브랜드 매장에서 2025년 3월 4일 오후부터 사용 중단
    CGV 2025년 3월 4일 오후부터 사용 중단
    에버랜드 및 캐리비안베이 현재 상품권 사용 불가
    엔터식스 상품권 사용 중단
    앰배서더 호텔 2025년 3월 4일부터 사용 중단

    6. ⭐소비자 대응 방안 ⭐

    홈플러스 매장 및 익스프레스 이용 홈플러스 상품권의 96%는 홈플러스 매장과 익스프레스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이들 매장에서는 정상적으로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품권 사용 가능 여부 확인 방문하려는 제휴사에서 홈플러스 상품권 사용이 가능한지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여러 제휴사들이 사용을 중단하고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상품권 조기 사용 고려 상품권의 유효기간은 발행일로부터 5년이지만, 제휴사들의 사용 중단이 계속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빠르게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홈플러스 측은 "상품권은 기업회생 개시에 따라 거래에 제한이 생길 우려가 없다"며, "홈플러스에서는 사용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 홈플러스의 입장

     

    "온/오프라인 매출 증가 및 부채비율 개선이 반영되지 않았다."
    "향후 단기 자금 조달이 어려울 가능성이 있어 선제적으로 회생 신청을 결정했다."

    회생절차 신청은 경영 정상화를 위한 선제적 대응이라는 점을 강조했으며, 협력업체와의 거래 및 직원 급여 지급도 차질 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즉, 이번 기업회생 신청은 재정적으로 큰 위기에 처한 것이 아니라, 자금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