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4월 4일, 대한민국 헌정사에 또 한번 안타까운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록이 되었습니다.
바로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파면 결정입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헌법재판소에 의해 파면된 두 번째 대통령으로 남게 되어서 안타까웠습니다. 오늘은 이 사건의 배경, 시민들의 반응, 국제 사회의 반응, 그리고 앞으로의 대선 일정까지 하나하나 짚어보겠습니다😃
1. 파면까지의 배경 및 요약
- 2024년 12월 3일,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령을 선포.
- 언론 통제, SNS 차단, 집회·시위 금지 등 헌법 위반 논란 발생
- 2024년 12월 14일, 국회는 탄핵소추안 가결
-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가 전원일치로 탄핵 인용 → 파면 확정
📌 비상계엄 선포 이후 122일 만에 파면 결정됨
2. 헌재의 탄핵 결정
헌법 재판소법 제 53조 | 탄핵심판 결정 정족수 |
헌법 제 71조 | 대통령 궐위 시 국무총리 권한대행 |
헌법 제 65조 | 탄핵소추의 대상 및 사유 |
- 재판관들의 만장일치 의견으로 탄핵 인용
- 파면의 효력은 즉시 발생
- 윤석열 대통령은 직위를 상실하고 모든 공적 권한을 잃고 제한됨.
- 파면 즉시 청와대 거주 자격 상실
3. 전직 대통령 예우 박탈
유지되는 예우 | 박탈되는 예우 |
- 신변 보호를 위한 최초한의 경호 제공 - 국가 기밀 유지 차원의 보안 관리 |
- 비서 및 운전기사 지원 중단 - 공식 행사 초청 대상 제외 - 월 연금 (1200만원 상당 / 2023년 기준) 지급 중단 |
4. 해외 반응: 전 세계의 주목
미국 | 일본 | 유럽 |
|
|
|
5. 예상 대선 일정
2025년 6월 3일 조기 대선 유력
- 헌법 제68조 2항: 대통령 궐위 시 60일 이내 선거 실시
- 예비 후보 등록 시작, 정당별 선대위 본격 가동
- 2030 공략 위한 유튜브, SNS 캠페인 활발
6. 2025 예상 대선 주요 일정표
대선일 공고 마감 | 25. 4. 14 | 권한대행 공식 발표 |
후보 등록 | 25. 5. 10 ~ 11 | 각 당 후보 확정 후 등록 |
공식 선거 운동 | 25. 5.12 ~ 6. 2 | 총 22일간 진행 예정 |
사전 투표 | 25. 5.29 ~ 30 | 전국 사전투표소 운영 |
대선 투표일 | 25. 6. 3 | 공휴일 지정 가능성 높음 |
📌 마무리하며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은 엄청난 충격을 주었는데요, 이번 사태는 권력의 남용이 용납되지 않으며, 국민의 힘으로 정치를 바로잡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다가오는 조기 대선이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었으면 좋겠고 더 성숙한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출발점이었으면 좋겠습니다.
📚 참고 링크
반응형